2025년 1분기, 대덕전자는 PCB 산업 전반의 흐름을 반영하며 복합적인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고성장 산업과의 접점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숨은 움직임이 포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덕전자의 실적을 정리하고, 주요 사업과 미래 성장 모멘텀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기업 개요
**대덕전자 (353200)**는 반도체 패키징 및 고다층 인쇄회로기판(MLB, FCBGA 등)을 제조하는 전문 기업으로, AI·자율주행 등 차세대 산업의 핵심 부품 공급사입니다.
구분수치 (2025.05 기준)
시가총액 | 약 7,630억 원 |
외국인 지분율 | 9.6% |
PER | 11.1배 (2025E 기준) |
PBR | 0.9배 (저평가 영역) |
목표주가 | 21,000원 (상승여력 +36%) |
현재주가 | 15,430원 |
🔍 핵심 사업 및 동향
1. AI 가속기용 MLB (다층기판)
- 1Q25부터 본격 양산
- 2Q25 매출 인식 시작, 가동률 90% 육박
- 2026년까지 생산능력 연 4,000억 원으로 확대 예정
- HDI 공정 노하우로 기술 경쟁력 확보
▶ 주요 포인트: AI 반도체 수요 급증과 함께 대덕전자는 MLB 분야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 FC-BGA (자율주행용 패키지 기판)
- 1Q25 현재 적자 지속, 매출은 분기 450~500억 원 수준
- 3Q25부터 자율주행 관련 신규 매출 기대
- 다수 프로젝트가 2H25~1H26 시작 예정
▶ 전망: FC-BGA는 영업 레버리지가 높은 구조로, 신규 매출만 안정화돼도 수익성 전환 가능성이 큽니다.
3. 메모리 기판
- 1Q25 매출 QoQ -10% 감소, 재고 비축 우려 크지 않음
- DDR5, GDDR 등 고사양 메모리 확산에 따른 반등 가능성 존재
▶ 포인트: 2Q25 반등과 더불어 GPU·AI 연동 제품 채택 확대 시, 성장 가능성 여전
📈 실적 요약 및 전망
구분 2024 2025E 2026E
매출 | 892억 | 941억 | 1,124억 |
영업이익 | 11억 | 26억 | 72억 |
순이익 | 24억 | 31억 | 72억 |
ROE | 2.7% | 3.5% | 7.9% |
🔸 2024년 저점을 지나 2026년부터 수익성 본격 회복 전망
🔸 분기별 모멘텀
- 2Q25: DDR5 기판 반등 + MLB 실적 인식
- 3Q25: FCBGA 신규 프로젝트 본격화
- 4Q25: MLB 병목 개선, AI향 매출 레벨업
🧭 투자 포인트 요약
항목 내용
✅ AI 시대 수혜 | AI가속기 기판 수요 급증에 MLB 매출 확대 |
✅ 자율주행 수요 | FCBGA, 3Q25부터 본격 매출 기대 |
✅ 밸류에이션 저평가 | PBR 0.9배, ROE 회복세로 가치 재평가 기대 |
✅ 성장 모멘텀 | 2025~2026년 실적 분기별로 개선 예상 |
📌 결론: 지금은 저평가 구간
대덕전자는 당장의 실적보다는 AI와 자율주행의 미래 수요에 선제 대응 중인 기업입니다. MLB의 생산능력 확대와 자율주행용 FCBGA의 실적 전환이 가시화되는 만큼, 2025~2026년은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시점이 될 수 있습니다.
현 주가 기준 36% 상승여력이 존재하며, AI 반도체 및 자율주행 기술의 성장 속도에 따라 기업 가치가 재평가될 가능성도 큽니다.
'경제_주식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어스테크놀로지, 헬스케어 기술로 글로벌 도약 중 (8) | 2025.05.19 |
---|---|
PI첨단소재 1Q25 실적 분석 및 향후 전망: "초극박 필름으로 부활 신호!" (1) | 2025.05.18 |
솔루스첨단소재(336370.KQ) (1) | 2025.05.18 |
SGC E&C 1Q25 실적 분석 & 기업전망: 플랜트 중심 구조적 턴어라운드 본격화 (5) | 2025.05.17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바닥 찍고 반등 중? (5)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