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기차 핵심소재,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로 도약 준비"
✅ 기업 개요
솔루스첨단소재는 동박, 전지박, OLED소재 등 첨단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특히 전기차용 2차전지 소재(전지박)에 강점을 가진 업체입니다. 헝가리, 캐나다 등 해외 생산 거점을 구축하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본사: 대한민국
- 시가총액: 약 6,050억 원
- 발행주식수: 약 7,022만 주
- 주요주주:
- 스카이레이크롱텀전략투자: 53.3%
- 국민연금: 5.1%
📊 최근 실적 요약 (2022~2027E)
구분 2022 2023 2024E 2025E 2026E 2027E
매출(억원) | 4,180 | 4,290 | 5,710 | 6,440 | 8,250 | 9,850 |
영업이익(억원) | -500 | -730 | -540 | -480 | 260 | 630 |
순이익(지배주주, 억원) | -110 | 188 | 5 | -38 | -5 | 11 |
EPS(원) | -131 | 2,053 | 51 | -419 | -55 | 119 |
ROE(%) | -2.7 | 29.3 | 0.6 | -5.1 | -0.7 | 1.5 |
💡 2023년 단기 흑자 전환은 일회성 요인이 컸고, 2024~25년은 전방 전기차 수요 둔화로 실적 부진 지속. 그러나 2026년부터 수익성 회복 기대.
🧪 주요 사업부 구성
1. 동박 & 전지박 부문 (전체 매출의 약 80%)
- 동박: 인쇄회로기판(PCB)용, AI 서버·CCL 수요 견조
- 전지박: 전기차 배터리 음극집전체, 성장동력 핵심
2. 첨단소재 부문 (OLED, 반도체 소재)
- 스마트폰 수요 부진으로 성장 정체
🌍 해외 현지화 전략 – 차별화 포인트
- 헝가리 공장: 페이즈 1 (1.5만톤), 페이즈 2 (2.3만톤) → 총 3.8만톤 생산
- 캐나다 공장: 2026~27년 가동 예정 (페이즈 1: 2.5만톤)
- 페이즈 2 및 헝가리 3단계는 보류 중
📌 북미 및 유럽의 보호무역 강화 → 현지 생산 거점의 전략적 가치 부각
📉 현재 실적의 그림자
- 전방 산업(전기차, 스마트폰) 부진 → 출하량 감소
- 2025년 상반기까지 적자 지속 전망
- 주 고객사 의존도 높음 → 매출 편중 리스크 존재
🔮 미래 전망 및 투자 포인트
📈 기대 요인
- 2026년부터 중화권·북미 고객사 다변화 → 매출 확대 기대
- 글로벌 생산시설을 활용한 차별화된 공급 역량
- AI·서버 관련 동박 수요 견조, MLB 기판 확대
⚠️ 리스크 요인
- 전기차 침체 지속 시 회복 지연 가능성
- 동박·전지박 공급과잉 및 가격경쟁 심화
- 정책 불확실성 (북미·유럽 친환경 정책 방향)
📌 증권사 투자 의견
- 투자의견: 매수(유지)
- 목표주가: 11,000원
- 현재주가(2025.05.13 기준): 8,610원
- 상승여력: +27.8%
“2025년은 저점, 2026년부터 회복의 신호가 본격화될 전망”
“수익성 회복보다는 시장 점유율 확대와 거점 구축에 주목할 시기”
'경제_주식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첨단소재 1Q25 실적 분석 및 향후 전망: "초극박 필름으로 부활 신호!" (1) | 2025.05.18 |
---|---|
대덕전자 1Q25 실적 분석과 미래 전망: AI 가속기 시대의 숨은 강자 (1) | 2025.05.18 |
SGC E&C 1Q25 실적 분석 & 기업전망: 플랜트 중심 구조적 턴어라운드 본격화 (5) | 2025.05.17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바닥 찍고 반등 중? (5) | 2025.05.17 |
2025년 KT 실적 분석과 미래 전략: 다시 달리기 시작한 통신 공룡 (1)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