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가스공사(036460)는 국내 최대의 천연가스 도입 및 공급 공기업으로, 최근 발표된 2025년 1분기 실적을 통해 주요 사업의 성과와 향후 사업 전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1. 1Q25 실적 요약
- 매출: 12조 7,327억원 (YoY -1%)
- 영업이익: 8,339억원 (YoY -10%)
- 매출 부합,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 해외사업 중 호주 GLNG, Prelude 프로젝트 부진
- 반면 모잠비크 Coral FLNG는 1Q25 영업이익 314억원 → 전년 대비 16배 급증
📌 해외 실적 포인트
사업장 주요 내용
GLNG (호주) | 유가 하락·인수물량 감소로 영업이익 급감 |
Coral FLNG (모잠비크) | 생산 본격화로 영업이익 급증 |
A-1/A-3 (미얀마), Zubair (이라크) | 안정적 수익 유지 |
🔧 2. 주요 사업 및 구조적 특징
🔹 주요 사업
- 가스 도입 및 도소매 판매
- 발전용 / 도시가스용으로 구분
- 전체 매출 중 약 93%가 이 부문
- 해외 가스전 개발 및 수출
- 미얀마, 이라크, 모잠비크, 호주 등지에 투자 및 운영
- LNG 액화 및 운송
🔹 수익구조
- 원료비 연동제 기반
- 매출 성장보다 영업이익 안정성에 초점
- 유가에 후행하는 구조 → 평균 원재료단가는 두바이유 기준 약 5개월 후행
- 매년 4~5월 ‘세후적정투자보수율’ 결정 → 일정 수준의 수익 보장
📉 3. 2025년 연간 전망
- 영업이익: 2조 3,070억원 예상 (YoY -23%)
- 2024년 영업이익 증가 요인은 일회성(가산 요인 6,500억원 수준)
- 2025년은 가산 요인 제외한 보수적 기조
- 요금기저, 투자보수율 하락으로 본사 이익 감소
- LNG 캐나다/모잠비크 생산 확대로 해외수익은 증가
💸 4. 미수금 이슈와 요금 인상 가능성
🔹 미수금 회수 속도 둔화 우려
구분 주요 내용
발전용 | 2Q25까지 대부분 회수 완료 예정 |
도시가스용 | 민수용 미수금이 핵심, 분기당 약 1,500억 추가 발생 |
전체 추세 | 3Q25 요금 인상 없을 시 미수금 증가 가능성 |
👉 3분기 요금 인상 여부/강도가 향후 미수금 해소 및 실적 개선의 핵심 변수
🔭 5. 기업가치 및 글로벌 Peer 비교
- PER: 2025E 기준 5.0배 (글로벌 평균 19.7배)
- PBR: 0.3배 (글로벌 평균 2.0배)
- 상대적으로 심각한 저평가 상태
- 정부 보유 지분 26.2%
- 국민연금, 한전 등 주요 기관 주주
🧩 투자 포인트 요약
항목 평가
영업안정성 | 원료비 연동제 → 수익 구조 안정 |
실적모멘텀 | 2024년 고기저로 2025년 역기저 발생 |
해외사업 확대 | LNG캐나다, 모잠비크 실적 기여 기대 |
미수금 회수 여부 | 3Q25 요금 인상 여부가 관건 |
밸류에이션 매력 | PER, PBR 기준 글로벌 대비 저평가 |
🏁 결론
한국가스공사는 공기업 특유의 안정성과 장기계약 구조를 통해 일정 수준의 이익을 유지하고 있으며, 모잠비크·캐나다 등 해외사업이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수금 회수 속도와 3분기 요금 인상 여부는 향후 투자 전략의 핵심입니다.
반응형
'경제_주식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쇼핑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및 미래 전망 (3) | 2025.05.15 |
---|---|
신세계인터내셔날 1Q25 실적 분석 및 미래 전망 (7) | 2025.05.15 |
코스메카코리아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 미래 전망 (11) | 2025.05.14 |
시프트업(462870),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 그 이후는? (8) | 2025.05.14 |
K-뷰티의 유럽 맹주, 실리콘투 — 글로벌 도약의 신호탄 (6)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