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주식 살펴보기

삼성중공업, LNG 시대의 주인공으로 부상 중

잘사는법이.... 2025. 4. 15. 17:33

— 2025년 이후 조선업계의 '에너지 전환' 수혜주


📌 핵심 요약

  • 목표주가 상향: 19,000원으로 상향 조정 (기존 17,000원)
  • 실적 턴어라운드: 2023년 흑자 전환 성공, 2025년 ROE 14.2% 전망
  • 수주 파이프라인: 2025년 상반기만 벌써 수주 목표의 39% 달성
  • FLNG 독점 체제: 중국 경쟁사 제재로 글로벌 독식 가능성 부각

 2025년 삼성중공업은 '친환경 해양에너지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점에 서 있다.


🧭 1. 실적 현황과 전망 — “흑자 전환은 끝이 아니라 시작”

구분2022202320242025E2026E2027E
매출액(십억원) 5,945 8,009 9,903 10,985 11,766 12,616
영업이익(십억원) -854 233 503 753 1,045 1,243
ROE (%) -16.1 -4.2 1.8 14.2 16.4 16.6
  • 2023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시작되었으며,
    2025년 ROE는 두 자릿수(14.2%)로 상승 예상​.
  • OPM도 2024년 5.1% → 2027년 9.9%까지 점진적 상승세 유지.

🚢 2. 수주 경쟁력 — “단순한 배 만드는 회사가 아니다”

🎯 2025 수주 목표: 총 58억불

  • 1분기 기준 22.5억불(39%) 이미 달성
  • LNGC 1척, 셔틀탱커 9척, VLEC 2척, 수에즈막스 4척 수주​

🌍 FLNG 글로벌 독점화 진행

  • 중국 유일 FLNG 건조사인 Wison, 美 블랙리스트 등재
  • 삼성중공업은 Prelude, Coral Sul 등 4기 건조 경험 보유
  • 탑사이드 설계 및 제작 역량까지 보유해 EPC 없이 단독 수주도 가능

⚠️ “Coral Sul #2, Delfin FLNG 등으로 2025년 추가 40억불 이상 수주 기대”


📐 3. Valuation 논리 — “BPS 기반의 보수적 접근”

  • 목표주가 계산 근거:
    • 2027E BPS: 6,915원
    • Target P/B: 2.7배
       목표주가: 18,671원 → 19,000원으로 라운딩 적용
  • 현재주가: 14,450원 (2025.04.14 기준)
     상승 여력 +31.5%

🔬 4. 리스크 요인 및 대응력

리스크 요인대응 방향
조업일수 감소로 분기 실적 하락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 수주 확대
경쟁 심화 FLNG 독점화로 차별화 전략 확보
원자재 가격 변동성 장기 수주계약 기반, 환위험 분산 구조

💡 결론 — 조선업의 미래, 삼성중공업에 묻는다

삼성중공업은 더 이상 ‘선박만 만드는 기업’이 아니다.
FLNG와 LNGC 중심의 고부가가치 해양플랜트 기업으로 전환 중이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과 함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조선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투자 관점에서 수익성과 수주, 기술력이라는 3박자를 갖춘 우량주로,
2025년은 삼성중공업의 재평가 원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