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개요: GKL이 누구인가?
GKL(Grand Korea Leisure)은 한국관광공사 자회사로, 외국인 전용 카지노 브랜드 ‘세븐럭(SEVEN LUCK)’을 운영하는 공기업입니다.
- 2005년 설립, 문화체육관광부 인가로 서울(코엑스, 용산 드래곤시티)과 부산(롯데호텔) 총 3개 지점 운영
- 외국인만 출입 가능한 카지노 운영, 매출의 90%가 테이블 게임, 9%가 슬롯머신, 1%는 환전수입
- 매출 변동 요인: 외국인 관광객 수, 드롭액(총 배팅 금액), 홀드율(카지노가 가져가는 비율), 각국의 비자 정책 등
🔹 참고: 2025년 현재 주요 주주는 한국관광공사(지분율 51%), 국민연금공단(6.84%)
💸 최근 실적 리뷰: 올해는 ‘홀드율’이 좋다
- 2025년 1분기 실적(잠정치):
- 매출액: 1,090억 원 (전년 대비 +11.3%)
- 영업이익: 193억 원 (전년 대비 +39.5%)
- 드롭액은 다소 감소(-9.7%)했지만, 홀드율 상승(+2.9%p)으로 수익성 개선
- 중국 VIP 고객 대상 마케팅 효과로 드롭액 YoY +10.1% 성장
- 방문객 수 전체는 전년 대비 +7.2%, 특히 중국 VIP는 +9.4% 증가
“2025년 3분기부터 중국인 대상 무비자 시행 효과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점도 호재로 분석됩니다.
📊 미래 성장성: 구조조정 끝, 이제는 회복과 확장
✔️ 1. 마케팅 전략 강화
- 지역별 마케팅 담당 직원 지정, 태국·몽골 대상 VIP 바카라 대회 등 고객 맞춤형 이벤트 추진
- 비자 완화 정책과 맞물린 외국인 관광객 유치 증가 예상
✔️ 2. 실적 개선 궤도 진입
- 2025년 연간 매출액 4385억 원, 영업이익 615억 원 전망
- 영업이익률 14.0%, ROE(자기자본이익률)도 11.6%까지 회복될 것으로 분석됨
- 목표주가 14,000원, 상승 여력은 약 +17.8%
✔️ 3. 카지노 산업 전체 회복세
- 마카오와 싱가포르 카지노 회복과 함께 동반 상승 흐름 기대
- 한국은 외국인 전용 카지노로 경쟁에서 차별화된 안정성을 갖춤
🌐 산업 동향 & 리스크 체크
요소 영향
🔺 중국 무비자 허용 | VIP 유입 증가, 실적 개선에 긍정적 |
🔺 마케팅 강화 | 고객 맞춤 전략으로 체류 시간 증가 |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 환율, 정치적 갈등 등 외생 변수 존재 |
🔻 국내 카지노 규제 변화 | 규제 완화 없을 시 성장의 한계점 존재 |
✍️ 정리하며: "공기업 카지노의 저력, GKL의 회복은 시작됐다"
팬데믹 직후 큰 타격을 입었던 GKL은 이제 구조조정과 마케팅 전환을 끝내고 회복 모멘텀에 진입했습니다. 특히 중국인 VIP 중심의 전략은 성공적이었고, 앞으로 비자 정책과 글로벌 관광 흐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 레저·카지노 업종에 관심이 있다면, GKL은 여전히 저평가 구간에서 기회를 주는 종목일 수 있습니다.
'경제_주식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에이치아이(083650) - 전력 부문 및 HRSG 확장으로 가속화되는 성장 (6) | 2025.04.22 |
---|---|
토비스 (051360/KQ) 2025년 전망 및 기업 분석 (2) | 2025.04.22 |
더존비즈온 (012510) 분석: ‘ERP + 뱅킹’ 퍼즐 완성! 디지털 금융 시장의 키플레이어로 (8) | 2025.04.21 |
NAVER, 커머스 퍼즐의 마지막 조각을 끼우다 (4) | 2025.04.21 |
현대백화점: 2025년 첫 분기 실적 분석 – 성장 잠재력과 미래 비전 (3)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