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읽는 기술

X2 전략 말고는 답이 없다

잘사는법이.... 2025. 4. 21. 11:26

 

– “지치기 전까지가 아니라, 타들어갈 때까지” –

💬 “결국 중요한 건 양이다.
더 많이, 더 깊이, 더 세게.”


🎯 인생이 잘 풀릴 때, 공통된 세 가지

지금까지 내 삶에서 상대적으로 잘 풀렸던 시기를 돌아보면
다음 세 가지 조건이 항상 동시에 충족돼 있었다.

  1.  시간 투입이 많았다 – 애초에 오래 앉아 있었음
  2. 🧠 집중이 높았다 – 폰 안 보고 그냥 꽂힘
  3. 🤝 주변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었다 – 약간의 푸시 or 조력

이게 되니까 잘 됐던 거다.


❌ 반대로 안 풀렸던 시절?

완전 정반대다.

  • 시간도 안 쓰고
  • 집중도 안 하고
  • 주변은 도와주기는커녕 정신 나간 인간들이 대부분 (물론 나도 그랬음)

요약하자면 → X 0.5 전략이었다.


💡 그래서 내린 결론은?

"그냥 x2로 가야 한다"

  • 리서치도 x2
  • 공부도 x2
  • 운동도 x2
  • 시도도 x2
  • 시간도 x2

그 다음에야 비로소 “효율”과 “수율”을 논할 자격이 생긴다.


🏋️‍♂️ 레전드의 마인드셋 – 이성직 형님의 조언

보디빌딩 올타임 레전드
💪 리 프리스트 aka 이성직 형님의 명언:

“지칠 때 멈추는 게 아니라
타들어갈 때까지 한다.”

한국 유튜버들이 찾아가서 물었다.
“형님, 운동 몇 세트 하세요?”
→ “몰라. 그냥 타들어갈 때까지.”

계산 안 한다.
그냥 갈 때까지 간다.

이게 진짜다.


🌍 내 지인 중 한 명은… x7로 움직인다

지인 중에 전국구로 날아다니는 사장님이 계신다.
오전엔 남해, 저녁엔 강남.
활동 반경 x5~x7은 기본.

이걸 보고 느꼈다.
“와… 내 기준의 x2도 모자랄 수 있겠구나


✅ 결론 : 일단 2배 때리고 생각하자

지금 고민하고 있다면?
지금 뭔가 정체되어 있다면?

  • 뭘 잘못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전에
  • 일단 투입량을 x2로 늘려보자

그 다음에야 효율, 전략, 수율 얘기를 꺼낼 수 있다.


☁ 오늘의 한 줄

“투입이 없는데 결과를 바라는 건 그냥 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