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치기 전까지가 아니라, 타들어갈 때까지” –
💬 “결국 중요한 건 양이다.
더 많이, 더 깊이, 더 세게.”
🎯 인생이 잘 풀릴 때, 공통된 세 가지
지금까지 내 삶에서 상대적으로 잘 풀렸던 시기를 돌아보면
다음 세 가지 조건이 항상 동시에 충족돼 있었다.
- ⏱ 시간 투입이 많았다 – 애초에 오래 앉아 있었음
- 🧠 집중이 높았다 – 폰 안 보고 그냥 꽂힘
- 🤝 주변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었다 – 약간의 푸시 or 조력
이게 되니까 잘 됐던 거다.
❌ 반대로 안 풀렸던 시절?
완전 정반대다.
- 시간도 안 쓰고
- 집중도 안 하고
- 주변은 도와주기는커녕 정신 나간 인간들이 대부분 (물론 나도 그랬음)
요약하자면 → X 0.5 전략이었다.
💡 그래서 내린 결론은?
"그냥 x2로 가야 한다"
- 리서치도 x2
- 공부도 x2
- 운동도 x2
- 시도도 x2
- 시간도 x2
그 다음에야 비로소 “효율”과 “수율”을 논할 자격이 생긴다.
🏋️♂️ 레전드의 마인드셋 – 이성직 형님의 조언
보디빌딩 올타임 레전드
💪 리 프리스트 aka 이성직 형님의 명언:
“지칠 때 멈추는 게 아니라
타들어갈 때까지 한다.”
한국 유튜버들이 찾아가서 물었다.
“형님, 운동 몇 세트 하세요?”
→ “몰라. 그냥 타들어갈 때까지.”
계산 안 한다.
그냥 갈 때까지 간다.
이게 진짜다.
🌍 내 지인 중 한 명은… x7로 움직인다
지인 중에 전국구로 날아다니는 사장님이 계신다.
오전엔 남해, 저녁엔 강남.
활동 반경 x5~x7은 기본.
이걸 보고 느꼈다.
“와… 내 기준의 x2도 모자랄 수 있겠구나”
✅ 결론 : 일단 2배 때리고 생각하자
지금 고민하고 있다면?
지금 뭔가 정체되어 있다면?
- 뭘 잘못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전에
- 일단 투입량을 x2로 늘려보자
그 다음에야 효율, 전략, 수율 얘기를 꺼낼 수 있다.
☁ 오늘의 한 줄
“투입이 없는데 결과를 바라는 건 그냥 소원이다.”
'현실을 읽는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구정 현대 초딩과 대치맘의 나라, 어른이 만든 신분 게임 (4) | 2025.04.23 |
---|---|
“진짜 멘탈 센 사람들은 평범한 일상을 끝까지 지킨다” (10) | 2025.04.22 |
“준거집단을 어떻게 설정하느냐가 인생을 바꾼다” (2) | 2025.04.20 |
"챔피언을 못 먹어도, 판은 잘 읽어야 한다" (0) | 2025.04.19 |
전술의 함정, 그리고 수원 삼성: "노출된 전략은 무기가 될 수 없다" (2)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