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급락한 진짜 이유는? 그리고 조선·방산주에 대한 짧은 생각
최근 금값이 하루 만에 4% 이상 폭락하며 투자자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수요공급 변화 너머의 흐름이 있습니다. 저는 이 변화를 기회라고 판단했고, 그 이유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5월 2일 금값 폭락…왜 일어났을까?
- 5월 2일, 국내 KRX 금값이 하루에 4.13% 폭락.
- 중국 투자자들이 노동절 연휴 전 대규모 금을 매도하며 생긴 일시적 현상.
- 상하이 금거래소에서만 100만 온스 이상 매각 – 역대 최대 수준.
- 그 자금은 연휴 소비 자금으로 전환된 것으로 해석됨.
🧭 ‘김치 프리미엄’과 단타 유혹
- 3월 말엔 김치 프리미엄이 20% 가까이 붙어 금을 매도.
- 며칠 사이 프리미엄이 15%까지 하락하자 다시 매수.
- 4월 말에는 목표 수익률 달성(2배 이상) 후 기계적으로 매도.
- 시장 참여자들이 빨라진 탓에 반등 타이밍을 놓침.
🔍 금 수요 급감의 배경: 중국 정책 변화
- 중국 민간의 금 수요는 세계 최고 수준 (2023년 기준 603톤).
-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이제 ‘이구환신(以舊換新)’ 정책으로 소비 촉진을 유도.
- 금 투자로 자금이 묶이는 것이 정부 입장에선 바람직하지 않음.
- 결국 시중은행들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통한 금 매수 차단.
🧠 투자 인사이트 요약
- 단기 금값 하락은 수요 위축에 의한 현상이며 구조적 위험보다는 일시적 조정.
- 금리 인하와 부동산 침체 속에서 중국인의 투자처가 금으로 몰렸지만, 이제 정부가 이를 견제 중.
- 이런 외생적 변수로 인한 가격 하락은 단기매매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음.
🚢 조선·방산주에 대한 짧은 생각
- 최근 조선, 방산주가 조정을 받고 있음.
- 이는 수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자금이 다른 테마로 이동한 것.
- 그러나 해당 산업은 장기 실적 성장 구조가 견고함.
- **‘흔들려도 구조는 유지된다’**는 판단 하에, 너무 빠른 손절은 지양.
📝 마무리 코멘트
시장은 늘 다양한 이유로 움직입니다. 단기적인 가격 변화에는 그만한 수급 배경이 있죠. 그러나 진짜 중요한 건 그 흐름 뒤에 있는 구조적 이야기입니다. 금과 조선·방산주 모두, 그 구조를 잘 파악한 사람만이 흐름 속에서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메르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5.14 [메르요약] 트럼프와 사우디 빈 살만은 무엇을 주고받았나? (2) | 2025.05.14 |
---|---|
2025.05.14 [메르요약] 명륜진사 갈비가 무한리필 가격을 올리는 비밀 (6) | 2025.05.14 |
2025.05.12 [메르요약] 리딩방장 말을 들어야하는듯(미국 중국 관세 145%에서 30%로) (4) | 2025.05.12 |
2025.05.12 [메르요약] 트럼프가 급해지고 있나 feat 미중 관세협상 (5) | 2025.05.12 |
2025.05.10 [메르요약] 삼성전자의 HBM 3E 양산은 자신감일까? 위험한 도전일까? (2)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