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소식

2025.04.09 서킷 브레이커란? 주식 시장의 비상 정지장치

잘사는법이.... 2025. 4. 9. 08:13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의 정의

서킷 브레이커란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할 때 과도한 시장 변동성을 완화하고자 일시적으로 거래를 정지시키는 제도입니다. 원래는 전기 회로의 과부하를 차단하는 '차단기'에서 유래된 용어로, 금융 시장에선 투자자들의 공황 매도나 투기적 거래를 막기 위한 안전장치로 사용됩니다.


🧠 서킷 브레이커가 필요한 이유

  • 시장 급변 시 투자자 보호
  • 감정적인 매매 대신 이성적 판단의 시간 제공
  • 과도한 손실 방지 및 시장 신뢰도 유지
  • 패닉 셀링(Panic Selling) 방지

⚙️ 서킷 브레이커의 작동 방식

국가 및 시장에 따라 다르지만, 대표적으로 **한국 거래소(KRX)**의 서킷 브레이커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의 서킷 브레이커 기준 (현행 기준)

구분발동 조건 (코스피/코스닥 공통)정지 시간
1단계 지수 8% 이상 하락 시 20분 정지
2단계 지수 15% 이상 하락 시 20분 추가 정지
3단계 지수 20% 이상 하락 시 당일 거래 종료 가능
  • 발동은 전일 대비 지수 하락률 기준
  • 장중에만 발동, 14:20 이후에는 1단계만 발동 가능
  • 코스피200 선물 가격 변동 기준의 사이드카와는 별개

🆚 서킷 브레이커 vs 사이드카

항목서킷 브레이커사이드카
대상 전체 주식 시장 선물시장 중심
효과 시장 전체 거래 일시 정지 프로그램 매매 일시 정지
정지 시간 20분 5분
발동 조건 지수 급변 (8% 등) 선물가격 급변 (5% 등)

🧭 해외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 예시

미국 (NYSE 기준)

  • 1단계: S&P500 지수가 전일 대비 7% 하락 → 15분 정지
  • 2단계: 13% 하락 → 15분 정지
  • 3단계: 20% 하락 → 장 종료

 미국은 상승 상황에는 서킷 브레이커가 작동하지 않음


💡 서킷 브레이커의 역사적 발동 사례

  • 2008년 금융위기: 글로벌 시장에서 잇따라 발동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입: 미국은 3월에만 총 4번 서킷 브레이커 작동

📝 마무리: 투자자의 자세

서킷 브레이커는 단순한 거래 중단이 아닌, 시장의 과열과 과매도를 잠시 멈추게 하여 투자자에게 ‘생각할 시간’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단기적인 공포에 휘둘리기보다, 이 제도를 냉정한 투자 판단의 기회로 활용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