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접근 가능한 것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예전에 어떤 성현께서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아무런 허들이 없이 접근 가능한 것에 대해선 항상 경계하라."
‘책사 같은 사람’,그런 에이스급 인재를 내가 아무런 제한 없이 바로 컨택할 수 있다?
그럼 높은 확률로 그 사람은 진짜 에이스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핵심 포인트는 ‘그냥 접근 가능하다’는 것 자체가 위험 신호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리스크는 어디서 터지나?
요즘 리스크가 터지는 곳들을 보면, 대부분
누구나 큰 제약 없이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공재에 가까운 곳, 예를 들어:
- 지하철
- 공공 도로
- 무료 서비스 플랫폼
반면, 내가 이용하려면 최소 월 30만 원 이상을 지출해야 하는 곳들은
어느 정도 허들이 있고, 그 허들 자체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합니다.
허들이 있는 공간이 오히려 안전하다
생각해보면, 나도 그랬습니다.
어느 정도 선 허들이 있었던 공간이 오히려 더 편하고 안정적이었습니다.
접근이 쉬운 공간은 그만큼 리스크 관리도 내가 직접 해야 하는 상황이 많았죠.
그래서 재벌들이 성을 짓고 사는 이유가 있나 봅니다.
물리적 공간만이 아니라, 심리적·사회적 방어선이 필요한 시대니까요.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까?
최적의 전략은 다음 중 하나입니다.
- 금액으로 컷팅
→ 일정 비용 이상을 지불해야 접근 가능한 구조 만들기 - 네트워크 기반
→ 신뢰 가능한 네트워크 안에서만 연결되도록 하기 - 금액 + 네트워크
→ 이중 장치를 통해 리스크를 1차적으로 걸러내기
이런 구조를 만들면, 딱 대중들이 발작(?)할 만한 요소에서
자연스럽게 걸러지게 됩니다. 결국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이미 그렇게 변화 중이다
요즘 전문 서비스 영역을 보면 이미 이런 흐름이 감지됩니다.
- 투자 자문
- 법률 상담
- 고급 커뮤니티
이런 분야는 금액과 네트워크 기반의 진입장벽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상위 소득층일수록 자신의 네트워크 안에서만 리소스를 교환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결국, 두 가지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 전문 서비스는 진입장벽 강화
- 상류 네트워크는 점점 폐쇄적 구조로
작은 팁
어딘가에 내가 쉽게 접근했다고 느껴졌을 때,
내 옆 사람도 과연 어떤 허들을 넘어 이 자리에 왔는지 확인해 보세요.
- 나와 비슷한 경로일 수도 있고,
- 혹은 정말 아무런 검증 없이 앉아 있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후자라면… 리스크 관리 모드로 전환하시길.
쉽게 얻어진 것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고,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부터가 리스크 관리의 시작입니다.
'현실을 읽는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7 “남 탓을 그치는 순간, 인생이 바뀐다” (0) | 2025.04.07 |
---|---|
2025.04.06 “레버리지, 켜는 법보다 끄는 법을 배워라” (0) | 2025.04.06 |
2025.04.05 《10년 전 오늘의 태도》 (2) | 2025.04.05 |
2025.04.04 “기본기가 갈라놓는 삶의 방향” (0) | 2025.04.04 |
2025.04.03 "마음이 부자인 게 진짜 부자라고요?" (1)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