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2일 “지금은 탄핵으로 대통령의 직무 집행을 정지시키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입장 발표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조기 퇴진에 응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임기 등 문제를 당에 일임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어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조기 퇴진이 탄핵보다 예측 가능성 있고 신속한 방안이라고 봤지만, 그런 방안은 대통령이 당에 자신의 거취를 전적으로 일임하고 국민의 판단에 따르겠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은 군 통수권을 비롯한 국정운영에서 즉각 배제돼야 한다”며 “대통령이 조기 퇴진 의사가 없음이 확인된 이상 즉각적인 직무 정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더 이상의 혼란은 막아야 한다. 이제 그 유효한 방식은 단 하나뿐”이라며 “다음 (탄핵안) 표결 때 우리 당 의원들이 회의장에 출석해 소신과 양심에 따라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와 국민을 위해 우리 당 의원들이 투표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탄핵에 찬성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그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고 답했다.
또 ‘탄핵소추안 가결 시 사퇴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는 “저는 직에 연연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그런 생각으로 일했다”며 “어떤 게 더 책임감 있는 일인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차기 대선 불출마 가능성도 사실상 일축했다. 그는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차기 대선에 나서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는 질문에 “지금 상황을 수습하고 해결하는 일이 너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진짜 책임감 보이는 일이 어떤 것인지 고민하겠다”고 답했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입장 발표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조기 퇴진에 응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임기 등 문제를 당에 일임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어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조기 퇴진이 탄핵보다 예측 가능성 있고 신속한 방안이라고 봤지만, 그런 방안은 대통령이 당에 자신의 거취를 전적으로 일임하고 국민의 판단에 따르겠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은 군 통수권을 비롯한 국정운영에서 즉각 배제돼야 한다”며 “대통령이 조기 퇴진 의사가 없음이 확인된 이상 즉각적인 직무 정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더 이상의 혼란은 막아야 한다. 이제 그 유효한 방식은 단 하나뿐”이라며 “다음 (탄핵안) 표결 때 우리 당 의원들이 회의장에 출석해 소신과 양심에 따라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와 국민을 위해 우리 당 의원들이 투표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탄핵에 찬성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그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고 답했다.
또 ‘탄핵소추안 가결 시 사퇴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는 “저는 직에 연연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그런 생각으로 일했다”며 “어떤 게 더 책임감 있는 일인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차기 대선 불출마 가능성도 사실상 일축했다. 그는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차기 대선에 나서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는 질문에 “지금 상황을 수습하고 해결하는 일이 너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진짜 책임감 보이는 일이 어떤 것인지 고민하겠다”고 답했다.
'12.3비상계엄 기사 스크랩_잊지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2.12 윤 대통령 담화에 권성동 반응이…"뭐 하는 거야, 이게 지금" (0) | 2024.12.12 |
---|---|
2024.12.12 "이제 7표, 단 1표가 부족"...野의원들, 국민의힘 탄핵 동참 릴레이 호소 (1) | 2024.12.12 |
2024.12.12. 대통령 담화문 (0) | 2024.12.12 |
2024.12.12 박선원 "尹, 국회 계엄해제 되자…7공수 등 더 투입하라 지시" (0) | 2024.12.12 |
2024.12.12 나경원·권성동·안철수 등 “탄핵안 상정, 토요일 안돼…신변 위협” 국회의장 항의방문 (0)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