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 기사 공부

산업안전기사 20210814

잘사는법이.... 2025. 4. 30. 23:14

8.

하인리히 재해 구성 비율

대형참사:경미한부상:무상해사고 = 1:29:300

버드의 법칙

중상 또는 폐질 : 경상해 : 무상해사고(물적손실) : 무상해무

사고(위험순간) = 1:10:30:600

9. 재해사례연구 순서로 옳은 것은?

재해사례연구 진행단계

전제 조건: 재해 상황의 파악

1단계: 사실의 확인

2단계: 문제점 발견

3단계: 근본 문제점 결정(재해원인결정)

4단계: 대책수립

10.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단계는?

시간 소비 많은 단계

강의식 - 제시

토의식 - 적용

11. 위험예지훈련 4단계의 진행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위험예지훈련의 추진을 위한 문제해결 4단계

현상파악(사실의 파악) 본질추구(원인조사) 대책수립(대책을 세움) 목표설정(행동계획 작성)

12. 레윈(Lewin.K)에 의하여 제시된 인간의 행동에 관한 식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종종 해설로 출제되고 있어 영어 단어암기 필요>

B : Behavior (행동)

P : Person (소질,사람)-연령,경험,심신상태,성격,지능

E : Environment (환경)-인간관계,작업환경,작업조건,설비적결함,감독,직무의 안정

f : function (함수)

L : Life Space (생활공간)

m : members (인원)

s : situation (환경)

l : leader (리더)

16.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유발원인이 아닌 것은?

 

재해 누발자의 유형

1.미숙성 누발자: 기능 미숙자,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자

2.상황성 누발자: 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자, 기계 설비의 결함이 있을 때, 심신에 근심이 있는 자, 환경상 주의력 집중이 혼란되기 쉬울 때

3.소질성 누발자: 개인 소질 가운데 재해 원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자, 개인의 특수 성격 소유자

* 소질성 누발자의 공통된 성격 *

- 주의력 산만 및 주의력 지속 불능

- 저지능

- 도덕성의 결여

- 흥분성

- 비협조성

- 소심한 성격

- 감각운동 부적합 등

4.습관성 누발자: 재해 경험에 의해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이 된 자, 슬럼프에 빠져있는 자

17. 인간의 의식 수준을 5단계로 구분할 때 의식이 몽롱한 상태의 단계는?

인간 의식레벨의 분류

단계 / 의식의 모드 / 생리적 상태 / 의식의 상태

Phase0: 무의식, 실신 / 수면, 뇌발작 / 주의작용 0

Phase1: 의식흐림 / 피로, 단조로운 일/ 부주의

Phase2: 이완 / 안정기거, 휴식 / 안정기거, 휴식

Phase3: 상쾌 / 적극적 / 적극활동

Phase4: 과긴장 / 일점집중현상, 긴급방위 / 감정흥분

20. 무재해운동의 이념 중 선취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재해3원칙(기본이념)>---->"참선무"

1) 무의 원칙(zero 원칙)

2) 참가의 원칙

3) 선취의 원칙(안전제일)

<무재해 3요소>

1) 최고경영자의 자세

2) 안전조직의 라인화

3) 자주관리 활동의 활성화

<무재해운동 추진기법>---->"삼자위원 TBM"(3번 자문자

답만 메치시키면 쉽게 암기 가능)

1) 위험예지 훈련

2) 원포인트 위험예지훈련

3) 자문자답 위험예지훈련

4) TBM 위험예지훈련

5) 삼각위험예지훈련

22.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발생된 신체 반응의 결과인 스트레

(strain)을 측정하는 척도가 잘못 연결된 것은?

스트레인(Strain)-->스트레스로 인해 우리몸에 나타는 현상

육체적 동적 활동-Physical and Dynamic Activities

EMG-근전도(국부근육)

RPE-운동자각도

EEG-뇌파도(인지도)

ECG-심전도

FFF-점멸융합주파수

EOG-안구전위도

GSR-전기피부반응

23. 일반적인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서 고장형태 중 증가형 고장률을 나타내는 기간으로 옳은 것은?

1) 초기고장 : 사용개시후 비교적 초기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하게 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구간이며 고장률은 감소 하는 경향을 보임

2) 우발고장 :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시스템 또는 제품이 안정화 되면서 사용조건의 우발적인 변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고장. 고장율 일정.

3) 마모고장 : 일정 기간 경과 후 마모 또는 노후에 기인하여 발생, 설비의 고장률이 증가함.

26. 발생 확률이 동일한 64가지의 대안이 있을 때 얻을 수 있는 총 정보량은?

2*2*2*2*2*2=64 1bit=0,1 2ea를 말함(64를 끝까지 나눌 경우 2,2,2,2,2,2-->26개 나옴)

따라서

1bit 6개이므로 6bit

bit = logN / log2 = log64/log2 = 6

29. 일반적으로 인체측정치의 최대집단치를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은?

최대치 : 출입문,통로,비상구

평균치 : 안내데스크

최소치 : 선반의 높이,조정장치

31. ‘화재 발생이라는 시작(초기)사상에 대하여, 화재감지기, 화재 경보, 스프링클러 등의 성공 또는 실패 작동여부와 그 확률에 따른 피해 결과를 분석하는데 가장 적합한 위험 분석 기법은?

1) FTA-연량 ,Top사상(연역식,정량-연량)

2) ETA-양귀:연속된 사건들의 발생 경로 분석(정량,귀납식-양귀)-"(E)양귀"-화재발생->화재감지기->화재경보->스프링클러

3) FHA-서브시스템

4) THERT-인간-기계

5) FMEA-귀성(귀납식,정성적-고장형태 및 영향부석)

6) FMECA-치명도

7) MORT-원자력,관범위

8) CA-위험도

9) DT-신뢰도

10) HAZOP( AS WELL AS-증가/ PART OF-감소,REVERSE :논리적 반대-)

11) O &SHA- 운영 및 지원 위험분석

12) OHA -운용위험분석

33. FTA에서 사용되는 사상기호 중 결함사상을 나타낸 기호로 옳은 것은?

1) 원기(-기본사상)

2) 직결(직사각형-결함사상)

3) 정부(정사각형-부정게이트)

4) 삼전(삼각형-전이기호)

5) 육억(육각형-억제게이트)

6) 생마(마름모-생략사상)

7) 다섯통(오각형-통상사상)

34. 기술개발과정에서 효율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판단할 수 있는 평가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안전성 평가의 종류 !

1)Risk Assessment 리스크 어세스먼트: 생산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리스크(Risk)를 파악하고 제거하는 활동

2)Risk Management 리스크 메니지먼트

3)Safety Assessment 세이프티 어세스먼트: 인적,물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전 공정에 걸친 안전성 평가

4)Technology Assessment 테크놀로지 어세스먼트: 기술 개발과정에서의 효율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프로세스

5)Human Assessment 휴먼 어세스먼트: 인적오류,인간,사고 상의 평가

37. 정보수용을 위한 작업자의 시각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유효시야-안구운동만으로 정보를 주시하고 순간적으로 특정정보를 수용 할 수 있는 범위-->"유효안구만"

판별시야(변별시야)-시력,색판별 등의 시각 기능이 뛰어나며 정밀도가 높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판별(변별)정 밀도 "

보조시야-거의 식별이 곤란하고 고개를 돌려야 가능-->"보조 곤란"

유도시야-제시된 정보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식별 능력 밖에 없지만 인간의 공간좌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범

-->"유도공간"(대상이'존재한다' 정도로만 식별 가능한 범

)-->"유도공간" "뭔가 있다" ---공간좌표

38. FMEA 분석 시 고장평점법의 5가지 평가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C1 : 기능적 고장 영향의 중요도

C2 :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C3 : 고장발생의 빈도

C4 : 고장방지의 가능성

C5 : 신규설계의 정도

"중요도 범위와 빈도는 고장방지의 가능성과 신규설계의 정도 에 있다."

39. 건구온도 30, 습구온도 35일 때의 옥스퍼드(Oxford) 지수는?

WD=(0.85×W 습구온도)+(0.15×D건구온도)=(0.850×35)+(0.15×30)=29.75+4.5=34.25

40. 설비보전에서 평균수리시간을 나타내는 것은?

1)MTBF:평균고장시간간격 (Mean Time Between Failure)

2)MTTR:평균수리시간 (Mean Time To Repair)

3)MTTF:평균고장시간 (Mean Time To Failure)

4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의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프레스 작업 전 점검사항

1)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정상 작동 여부

2) 크랭크 축, 플라이 휠, 연결봉 등의 체결 나사의 풀림 여부

3) 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 정상작동 여부

4) 위험방지 기구등의 기능 정상 작동 여부

5) 프레스 금형등의 도정 상태

6) 프레스 방호장치 정상 설치 상태

43. 동력전달부분의 전방 35cm 위치에 일반 평형보호망을 설치하고자 한다. 보호망의 최대 구멍의 크기는 몇 mm인가?

Y=6+0.1x

4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압력용기에서 안전인증된 파열판에 안전인증 표시 외에 추가로 나타내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파열판 안전인증표시>

1) 호칭지름

2) 용도(요구성능)

3) 유체의 흐름방향 지시

4) 파열판 재질

5) 설치압력 및 설정온도

47. 선반에서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 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일감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는?

1)칩 브레이커 : 칩을 짧게 절단하는 장치

2)척 커버 : 기어 등을 복개하는 장치

3)방진구 :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진동을 방지

4)쉴드 : 침 및 절삭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플라스틱 덮개

5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이 6톤일 경우 헤드가드의 강도는 몇 톤의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

헤드가드의 강도: 최대하중의 2, 등분포 정하중 4ton 초과 해야함.

5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안전기의 설치

1)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취관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다만, 주관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하여는 발생기와 가스용기 사이에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56. 프레스기의 안전대책 중 손을 금형 사이에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하는 본질적 안전화를 위한 방식(no-hand in die) 에 해당하는 것은?

안전울 부착 프레스

안전금형 부착 프레스

전용프레스

자동프레스

5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양중기의 종류

1) 크레인

2) 이동식 크레인

3) 리프트

4) 곤돌라

5) 승강기

이삿짐용 리프트는 적재하중 0.1ton 이상

61. 피뢰시스템의 등급에 따른 회전구체의 반지름으로 틀린 것은?

1등급 20m

2등급 30m

3등급 45m

4등급 60m

62.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단로기를 끊었을 때 여러 가지 파괴작용을 일으킨다. 다음 그림에서 유입차단기의 차단 순서와 투입순서가 안전수칙에 가장 적합한 것은?

단로기는 부하전류 개폐할 수 없으므로 차단할 때는 차단기 먼저 차단, 투입시에는 단로기 먼저 투입

64. 정전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제전기의 제전효율은 설치 시에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제전기의 제전효율 : 90% 이상.

66. 정격사용률이 30%, 정격2차전류가 300A인 교류아크 용접기를 200A로 사용하는 경우의 허용사용률(%)?

용접기의 허용사용률=정격전류^2/실사용전류^2 x 정격사용률

300A^2/200A^2 x 0.3 = 0.675x100= 67.5% ]

67. 피뢰기의 제한 전압이 752kV이고 변압기의 기준충격 절연강도가 1050kV이라면, 보호 여유도(%)는 약 얼마인가?

여유도: (기준충격절연강도-정격전압/정격전압)x100 =

39.6276... 반올림 40%

68. 절연물의 절연불량 주요원인

1) 높은 이상전압 등에 의한 전기적 요인

2) 진동, 충격 등에 의한 기계적 요인

3) 산화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4) 온도상승에 의한 열적 요인

69.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차단기와 단로기

1) 차단기: 부하전휴 개폐는 물론 고장전류도 차단 가능.

2) 단로기: 무부하 전류는 개폐 가능하나, 부하전류나 고장전류는 개폐 불가능.

3) 개폐기: 부하전류 계페는 가능하나 고장전류는 차단 불가능.

70. 주택용 배선차단기 B타입의 경우 순시동작범위는? (, In 는 차단기 정격전류이다.)

<주택용 배선차단기 순시트립>

B타입-3In초과~5In이하

C타입-5In초과~10In이하

D타입-10In초과~20In이하

71. 다음 중 방폭 구조의 종류가 아닌 것은?

유입 방폭구조(Oil Immersed Type:O) - 점화원을 기름 속에 가두어 인화성 분위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 방폭구조.

72. 동작 시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 및 특고압용 개폐기ㆍ차단기의 이격거리(목재의 벽 또는 천장, 기타 가연성 물체로 부터의 거리)외 기준으로 옳은 것은? (,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의 특고압용의 기구 등으로서 동작할 때에 생기는 아크의 방향과 길이를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제한하는 경우가 아니다.)

아크를 발생 시키는 기구

-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기타 유사한 기구 이격거리 : 고압용은 1m 이상, 특고압용의 것은 2m 이상

73. 3300/220V, 20kVA3상 변압기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저압 전선로의 절연 부분의 전선과 대지 간의 절연저항의 최소값은 약 몇 인가? (, 변압기의 저압 측 중성점에 접지가 되어 있다.)

절연저항=전압/누설전류

1)W=VA

2)20*1000 = (루트3)*220V*A, A = 52.49

3)저항 = 전압/전류 이고 누설전류 1/2000을 적용하면 R

= 220/[(52.49/2000)], R = 8382.54

75.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에 콘센트가 시설되어 있다. 해당 전로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와 동작시간은?

욕조나 샤워실????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 15mA이하->동작시간 0.03초 이하

인체감전보호용 정격감도전류 30mA이하 / 동작시간 0.03 초 이하

76. 50kW, 60Hz 3상 유도전동기가 380V 전원에 접속된 경우 흐르는 전류(A)는 약 얼마인가? (, 역률은 80%이다.)

50000=루트3*380*I*0.8

I=50000/(1.732*380*0.8)

=50000/526.528

=94.96

78. 내압방폭용기 “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최소이격거리

II A 10MM

II B 30MM

II C 40MM

79. KS C IEC 60079-0의 정의에 따라 두 도전부 사이의 고체 절연물 표면을 따른 최단거리를 나타내는 명칭은?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

- 두 전도부 사이의 공간을 통한 최단거리

81. 다음 중 고체연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고체연소의 종류

1) 표면연소

2) 분해연소

3) 증발연소

4) 자기연소

기체연료연소

1)확산연소

2)혼합연소

3)폭발연소

86. 공기 중에서 A 가스의 폭발하한계는 2.2vol%이다. 이 폭발하한계 값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 상태에서 A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체 1m3 에 함유되어 있는 A 가스의 질량을 구하면 약 몇 g 인가? (, A 가스의 분자량은 26이다.)

19.02 25.54

29.02 35.54

<문제 해설>

1mol=22.4L=0.0224m3

26g/0.0224m3=1160.7g/m3

2.2vol%=0.022

1160.7g/m3*0.022=25.54g

89. 폭발을 기상폭발과 응상폭발로 분류할 때 기상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응상폭발의 종류

- 수증기폭발, 증기폭발, 고상간의 전이에 의한 폭발, 전선폭발

91. 처음 온도가 20인 공기를 절대압력 1기압에서 3기압으로 단열압축하면 최종온도는 약 몇 도인가? (, 공기의 비열비 1.4이다.)

<문제 해설>

(273+20)*(3기압/1기압)^(1.4-1/1.4)=401.04K

401-273=128

온도는 모두 K=273+

92. 물질의 누출방지용으로써 접합면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체크밸브-액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흐

르게 하는 밸브

플러그-전원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속기구

콕크-유체의 흐름과 차단을 행하는 밸브

94. 에틸렌(C2H4)이 완전연소하는 경우 다음의 Jones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경우 연소하한계는 약 몇 vol%인가?

<한개의 에틸렌 완전연소를 위해 3EA 산소가 필요함>

C2H4+3O2->2CO2+2H2O

jones LFL=0.55*Cst

<1/[1+(3/0.21]>*0.55= [1/(1+14.29)]*0.55=(1/15.29)*0.55=0.065*0.55=0.036

0.036*100=3.6%

99. 반응기를 조작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반응기 조작방식에 의한 분류>---->"반회분 연속플러그"

1) 회분식 반응기

2) 반회분식 반응기

3) 연속식 반응기

4) 플러그흐름 반응기

<구조에 따른분류>

1) 관형 반응기

2) 교반조형 반응기

3) 탐형 반응기

101.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갱폼 2) 슬립폼 3) 클라이밍 폼 4) 터널라이닝 폼

103. 버팀보, 앵커 등의 축하중 변화상태를 측정하여 이들 부재의 지지효과 및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기는?

Load Cell : 하중계,체중계-탱크나 사일로 축 하중 재는 장비

109.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최대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고정식 사다리의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

높이 7미터이상인 경우 바닦높이가 2.5 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것.

110. 거푸집동바리 구조에서 높이가 l=3.5m인 파이프서포트의 좌굴하중은? (, 상부받이판과 하부받이판은 힌지로 가정하고, 단면2차모멘트 I=8.31cm4 , 탄성계수 E=2.1×105 MPa)

PCR=(파이)^2EI/(KH)^2

=3.14*3.14*(2.1*10^5)*10^6*(8.31/100^4)/(1*3.5)^2

=(172.060*1000)/12.25

=14046

112. 추락방지용 방망 중 그물코의 크기가 5cm인 매듭방망

신품의 인장강도는 최소 몇 kg이상이어야 하는가?

* 그물코의 크기 10cm

- 매듭 있는 망 : 200kgf 이상 / 폐기 : 135kgf

- 매듭 없는 망 : 240kgf 이상 / 폐기 : 150kgf

* 그물코의 크기 5cm

- 매듭 있는 망 : 110kgf 이상 / 폐기 : 60kgf

- 매듭 없는 망 X

113. 단관비계의 도괴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벽이음의 간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관비계 벽이음 간격 : 수직방향 5M 이하,수평방향 5M 이하

틀비계 벽이음 간격 : 수직방향 6M이하, 수평방향 8M이하

119.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 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 외한다.)

달기 와이어로프,강선 : 10 이상

달기 훅,체인,목재 : 5 이상

달기 강대와 달비계 하부 및 상부의 지점 :2.5 이상

120. 발파작업 시 암질변화 구간 및 이상암질의 출현 시 반드시 암질판별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암질판별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암질판별기준>

1) 일축 압축강도

2) RQD

3) RMR

4) 탄성파 속도

'산업안전 기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20220305  (7) 2025.04.29
산업안전기사 20220424  (2)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