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루 만에 21bp 상승 (5.31%)
- 시장은 갑작스러운 금리 상승(=채권 가격 하락)의 원인을 분석 중
- 중국의 국채 매각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마진콜 가능성도 함께 부상
- 필자는 목표 수익률 도달과 마진콜 대응 매도로 판단
📈 "채권 금리 하루에 5% 넘게 뛰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루 사이 5.31% 올랐습니다.
전문가 표현으로는 21bp(베이시스포인트) 상승이라고 하지만, 일반적인 독자들에게는 퍼센트(%)가 더 익숙하죠.
메르가 보유한 국채는 3.8% 후반대에 매도했고, 장중 금리가 최저 3.99%까지 치솟은 것을 보니, 하락장이 심했던 구간에 매도가 이뤄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 시장의 해석 ① 중국의 국채 매각?
일부 기사와 분석가들은 중국이 미국 국채를 대량 매도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중국은 일본에 이어 미국 국채 보유량 2위
- 트럼프의 금리 안정 정책에 맞서 채권을 던졌을 가능성
하지만 저는 중국설에는 회의적입니다.
왜냐하면 장기물뿐 아니라 2년물 국채도 함께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보통 중국은 장기물 중심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반적 금리 상승은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크죠.
🔍 시장의 해석 ② 마진콜?
저는 대형 투자자의 마진콜 가능성을 더 현실적인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 최근 미국 주식 시장 급락
- 레버리지를 일으켰던 투자자들이 마진콜 발생 가능
- 주식 손절을 피하고, 채권이나 금을 먼저 매각했을 가능성
이런 상황에서는 이미 목표 수익률에 도달한 자산부터 정리합니다.
그동안 수익이 났던 금이나 국채를 먼저 매도해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죠.
이러한 이유로 최근 금값도 일시적으로 폭락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 금리 상승, 일시적일까?
채권 가격 하락과 금리 급등은 단기적인 현상일 수 있습니다.
만약 주가가 더 빠진다면, 남아 있는 채권 자산에도 손을 댈 수밖에 없고, 그러면 금리는 더 올라갈 수 있겠죠.
물론, 2개월 후 중국의 실제 매각 여부가 집계되면 보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시장에서는 이런 추정과 해석 자체가 공부이고, 투자 내공을 쌓는 과정이 됩니다.
✍️ 한줄 코멘트
오늘 새벽 미장은 보합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추가 마진콜은 진정된 듯하고, 이제는 다시 매수 타이밍을 노려야 할 시점이네요.
요즘처럼 변동성이 큰 장에서는,
풀스윙보다는 짧고 간결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메르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9[메르요약] 트럼프가 미국국채 금리를 낮추는 방법 (1) | 2025.04.09 |
---|---|
2025.04.09 [메르요약] 수익률이 가장 높은 운용수단....중국의 미국 보복 6개 방안 발표 (2) | 2025.04.09 |
2025.04.07 [메르요약] 미국의 중국선박 폭탄 수수료 부과준비가 끝났다. (0) | 2025.04.07 |
2025.04.07 [메르요약] 엔화가 빠르게 강해지는 이유가 뭘까? (3) | 2025.04.07 |
2025.04.06 강제노동행위 확인, 미국 관세청 태평염전의 소금에 수입금지 조치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