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요약

2025.06.23 [메르요약] 고기 전쟁이 시작되었다.

잘사는법이.... 2025. 6. 23. 15:18
반응형

"고기 전쟁"이 시작됐다 - 배양육을 둘러싼 치열한 세계 식량 패권 경쟁

전 세계적으로 '고기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육류 소비를 둘러싼 갈등이 아닌, 인구 증가, 식량 부족, 기술 혁신, 그리고 정치·경제 패권이 얽힌 거대한 흐름입니다. 특히 '배양육'을 둘러싼 논쟁이 불을 붙이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배양육이 왜 중요한지,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한국과 세계는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차근차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왜 '고기 전쟁'인가? - 인구와 식량의 불균형

  • 한국은 세계 최저 출산율 국가입니다.
    → 합계출산율 : 한국 0.81명, 서울 0.62명
  • 반면, 전 세계는 인구 증가 중입니다.
    → 2050년 세계 인구 100억 명 예상 (UN 전망)
    → 아프리카는 출산율 5.2명, 인구 30억 명까지 증가 전망

▶ 식량 문제 심화
인구가 늘면 식량 수요도 폭증합니다. 특히 육류 부족이 심각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육류 생산을 늘리려면 사료 재배를 위한 경작지와 물이 필요
  • 이미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심화
  • 예시 :
    → 옥수수 1kg 생산에 물 650L 소모
    → 소고기 1kg 생산엔 무려 40,000L 필요

이런 상황에서 '더 적은 자원으로 고기를 만드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 대체육 vs 배양육 - 미래 육류 기술 경쟁

초기에는 '콩고기' 등 비동물성 단백질 대체육이 주목받았지만, 맛과 식감 한계로 확산이 더뎠습니다.

배양육의 등장

  • 2004년 네덜란드 마크 포스트 교수, 정부 지원으로 배양육 연구 시작
  • 원리 : 동물 줄기세포 → 배양액에 넣어 근육세포로 성장 → 단백질 조직 생성
  • 장점 :
    → 축산보다 20배 빠른 생산
    → 토지 사용 1%, 물 사용 4%, 온실가스 배출 4% 수준

초기 한계

  • 지방 부족으로 맛·식감 문제
  • 생산 비용 과다
  • 임신한 소의 태아에서 채취한 '소태아혈청' 사용 → 윤리 논란 + 고비용
    → 140g 패티 1장 생산에 소태아혈청 50리터 → 원가 5만 달러
    → 2013년 첫 배양육 햄버거 : 제작비 약 4억 원

 


3. 배양육의 진화와 투자 경쟁

  • 미국 '업사이드푸드' : 배양육 단가 급격히 하락
    → 100g당 4,800만 원 → 640만 원 → 무혈청 기술 개발 → 3만 원 → 2022년 2천 원대
  • '미트 패리티'(Meat Parity) 달성 : 배양육이 자연육보다 저렴해지는 순간

거대 자본의 투자

  • 빌 게이츠·카길 : 170억 달러 투자
  • 소프트뱅크(손정의) 추가 투자
  • 기술 개발 :
    → 지방세포 혼합으로 맛 개선
    → 근육세포를 틀에 쌓아 고깃덩어리 구현
    → 무혈청 기술로 윤리·비용 문제 해결

유통 혁신

  • 멸균 생산 → 상온 유통 가능 → 냉장·냉동 불필요

4. '고기 전쟁' 본격화 - 규제와 반발

축산업 강국들의 반격

  • 미국 네브래스카주 : 2024년 9월 배양육 판매 금지
  • 플로리다·앨라배마·미시시피 : 배양육 생산·판매 전면 금지
  • 이유 : 농업·축산업 보호, 기존 산업의 정치적 영향력
  • 업사이드푸드 : 법적 대응 → 일부 승소

유럽 동향

  • 영국 : 배양 닭고기(미틀리) 애완동물 사료로 승인, 상업화 시작
  • 이탈리아·프랑스·오스트리아 : 배양육 전면 금지

5. 한국 기업의 선제 대응

  • SK : 배양 연어(Wildtype), 대체 유제품(Perfect Day)에 대규모 투자
  • 한화 : 배양 생선육 기업 투자
  • CJ : 이스라엘 소고기 배양육 기업 투자
  • 삼양·풀무원 등 : 자체 배양육 연구 착수

왜 한국도 뛰어드는가?

  • FAO : 2040년 세계 육류 소비의 60%가 배양육·대체육으로 전환 예상
  • AT커니 : 2040년 글로벌 배양육 시장 6,300억 달러 규모 전망

 


6. 우주로 확장되는 배양육 실험

  • 2025년 4월 : 스페이스X, 한국 정찰위성과 함께 영국 '스페이스랩' 우주 실험실 발사
  • 목표 : 우주 내 자체 식량 생산 체계 구축
  • 필요성 :
    → 우주비행사 1인 하루 식비 3,800만 원
    → 우주 장기 체류 위한 식량 자급 실험

7. 결론 - 고기 전쟁의 승자는 누구인가

  • 배양육은 온실가스 저감(가축이 전 세계 온실가스 15% 배출) 효과
  • 기술 진화 속도 ↑, 가격 경쟁력 ↑, 유통 혁신
  • 기존 축산업의 반발 속에서도 '대세'로 자리잡는 분위기

한 줄 요약
“맛과 가격을 모두 갖춘 배양육 시대가 오고 있다. 축산업 강국들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까지 속속 합류 중이다. 고기 전쟁은 이미 시작됐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