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주식 살펴보기
인테리어 대표주자 ‘한샘’, 지금 어디쯤인가?
잘사는법이....
2025. 5. 16. 13:25
반응형
✅ 기업 개요
한샘 (009240)
한샘은 국내 리빙·인테리어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가구 제조 유통뿐 아니라 **리모델링 시공(B2C/B2B)**까지 사업을 확장해 온 토탈 홈 인테리어 전문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오피스 가구 시장 진출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구분 수치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 4,434억 원 | -8.7% 감소 |
영업이익 | 64억 원 | -50.4% 감소 |
순이익 | 96억 원 | 적자→흑자 전환 |
영업이익률 | 1.5% | -1.2%p 하락 |
📌 해설: 내구재 소비 위축, 아파트 거래 감소, 입주 사이클 종료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실적 부진. B2B(특판) 매출 감소와 고정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음.
🧱 주요 사업 구조
🛋️ B2C 부문 (전체 매출의 60% 이상)
- 홈퍼니싱(가구): 성장률 정체. 소비심리 회복 시 반등 여지 있음.
- 리하우스(리모델링): 부동산 거래와 밀접. 아파트 매매 거래량 회복 시 실적 개선 기대.
🏢 B2B 부문
- 아파트 입주 특수 감소에 따라 지속적인 실적 하락세.
🔧 기타 연결 부문
- 자회사 및 기타사업 포함. 점차 비중 축소 추세.
🔍 재무 및 시장 평가
- PER(2025E): 39.5배 (높음)
- PBR(2025E): 1.9배
- ROE(2025E): 6.9%
- 부채비율: 190.4% (다소 높은 수준)
📌 2024년 대비 실적 체력 약화로 목표주가 50,000원 → 45,000원으로 하향 조정
이는 과거 거래 침체기 대비 25% 할인된 PBR 수준을 반영한 결과
🔮 향후 전망 및 투자 포인트
- 소비심리 회복 여부가 핵심 변수
- 고금리로 인한 내구재 소비 위축이 지속되는 한 한샘의 실적 개선은 제한적일 가능성.
- 다만, 금리 인하 국면 진입 시 매출 반등 기대.
- 정책 수혜 가능성
- 향후 정부의 내수 부양책 및 부동산 규제 완화는 리하우스 부문에 직접적인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음.
- 신사업: 오피스 가구 시장 진출
- 기존 홈퍼니싱 역량을 활용해 법인용 B2B 가구 시장 공략, 장기적 성장성 확보 시그널.
- 리하우스 사업의 리바운드 가능성
- 2025년 2분기부터는 지연효과(Lagging Effect)로 리하우스 수요 회복 가능성 있음.
📌 종합 코멘트
한샘은 리모델링 중심의 사업 다각화를 이뤘지만, 내수 경기와 주택 시장 의존도가 매우 높아 중장기 실적 개선은 경기 반등과 소비심리 회복에 달려 있습니다.
2025년은 ‘실적 저점’으로 자리매김하며 체력 보강의 시기로 작용할 수 있으며, 신사업의 가시화 여부가 프리미엄 회복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