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주식 살펴보기
삼성SDI 기업 분석: 지금이 기회일까?
잘사는법이....
2025. 4. 28. 12:30
1. 삼성SDI는 어떤 회사인가?
삼성SDI(삼성SDI, 006400)는 삼성그룹 계열의 전지 및 전자재료 전문 제조 기업입니다.
특히 전기차용 배터리(EV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ESS), 소형 IT 배터리 그리고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소재 등을 생산합니다.
- 본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 설립: 1970년
- 주요 사업: 전지사업부, 전자재료사업부
- 글로벌 주요 거점: 한국, 중국, 유럽, 미국 등
삼성SDI는 ‘기술 중심 성장’을 내세우며 에너지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 Top Tier를 목표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2. 2025년 1분기 실적: "최악은 지났다"
📉 1분기 요약
- 매출: 3조 1,768억 원 (전분기 대비 -15.4%)
- 영업이익: -4,341억 원 (적자 지속)
- 영업이익률(OPM): -13.7%
1분기는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서 BMW, VW 등 유럽 OEM 고객사의 재고 조정과 수요 감소로 타격을 입었습니다.
소형 전지(IT, 전동공구용) 부문 역시 Rivian(미국 전기차 업체) 물량 부진의 영향을 받았고, ESS 부문은 계절적 비수기를 맞았습니다.
📈 2분기 전망
- 매출: 3조 6,240억 원 (+14.1%)
- 영업이익: -1,110억 원 (적자 폭 축소)
- 영업이익률(OPM): -3.0%
특히 유럽에서는 EU Action Plan 발표 이후 PHEV, HEV 등 판매가 늘어나면서 BMW향 출하량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북미에서는 Stellantis JV 1공장(총 33GWh 규모) 가동이 실적 개선의 키포인트입니다.
3. 삼성SDI의 미래 방향은?
🚗 전기차 배터리 사업 확대
- Stellantis(북미) JV 공장 추가 가동 예정
- BMW(유럽)·포드(북미) 등 대형 고객사 대상 공급 확장
- 차세대 배터리 기술(전고체 배터리, All Solid State Battery) 개발 중
→ 2027년 양산 목표
🔋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성장
- 데이터센터, 신재생에너지 연계 시장 확대에 따라 중장기 성장 기대
- ESS 부문 영업이익률은 2025년 8.0% 이상으로 개선 전망
🧪 전자재료 사업
- 반도체 패키지 소재, OLED 소재 등 수요 지속 증가
- 소형화, 고집적화 트렌드에 맞춘 신제품 개발 가속화
4. 수치로 보는 삼성SDI 핵심 지표
구분 2024년 2025년F 2026년F
매출액 | 16.6조 원 | 16.0조 원 | 20.2조 원 |
영업이익 | 363억 원 | -211억 원 | 2,362억 원 |
EPS(주당순이익) | 8,333원 | 3,798원 | 26,511원 |
영업이익률 | 2.2% | -1.3% | 11.7% |
- 현재 주가(4/25 기준): 185,100원
- 목표 주가: 300,000원 (Upside 62.1%)
※ PER(2026F): 7.0배 → 상당히 저평가 구간!
5. 추가로 알아야 할 포인트 🔎
- 외국인 지분율: 31.6% (견조한 글로벌 신뢰)
- 배당수익률(2025F): 0.5% (아직은 배당매력은 약함)
- 52주 최고/최저가: 434,201원 / 168,100원
(현재는 저점 부근) - 주요주주: 삼성전자 외 20.0%, 국민연금 6.75%
📢 마무리: 삼성SDI, '지금' 주목할 타이밍?
삼성SDI는 지금 실적 저점 구간을 지나 미래를 향해 반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 ESS 수요 확대, 전자재료 부문 안정성까지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포지션이 유효합니다.
목표주가 300,000원까지 60% 넘는 상승 여력.
조심스럽지만, 지금은 '바닥 다지기' 구간에서 천천히 모아가는 전략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