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요약

2025.04.15 [슈카요약] 한국인들은 왜 레버리지만 하는가

잘사는법이.... 2025. 4. 16. 10:04

 

🔥한국인의 야수 본능, 레버리지 투자에 불 붙다

- '레버리지' 시대, 고금리·고변동성에서의 생존 전략


📊요즘 나스닥? 레버리지 없어도 ‘화끈’합니다

최근 나스닥은 굳이 레버리지 상품이 아니어도 ‘하루 6% 변동성’이 기본값인 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점과 저점 사이를 하루에 12%씩 오가는 날도 심심치 않게 목격되고 있죠.
이런 장에선 사실 레버리지 상품이 필요하지 않아야 정상입니다. 하지만...


🇰🇷한국 투자자들, 가장 많이 산 해외 종목은?

✅ 1위: 반도체 3배 레버리지
✅ 2위: 테슬라
✅ 3위: 테슬라 2배 레버리지
✅ 4위: 나스닥 3배 레버리지
✅ 6위: 나스닥 숏 3배 ETF

놀라운 점은, 롱과 숏을 동시에 쓸어담는다는 겁니다. 방향성이 정반대인 상품을 동시에 매수한다는 건 일종의 헷갈림 혹은 과도한 기대의 반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놀라운 건, ‘1배짜리’ ETF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건 투자일까, 마권일까?

단기 가격 변동폭은 말 그대로 미친 수준입니다.

날짜                                                                          반도체 3배 ETF 수익률
4월 3일 -30%
4월 4일 -28%
4월 7일 -9% → +26%
4월 8일 -9% → +18%
4월 9일 +55%
4월 10일 -35%

말 그대로 "코인보다 화끈한 ETF"입니다. 이쯤 되면 주식이 아니라 도박의 영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롱도 숏도 ‘다 깨진’ 이유: 변동성 녹음(Volatility Decay)

레버리지 ETF는 지수가 아니라 일일 수익률의 배수를 추종합니다. 이게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

  • 지수: 100 → 90 (-10%) → 다시 100 (+11.1%)
  • 레버리지 ETF(3배): 100 → 70 (-30%) → 93 (+33%)

지수는 제자리지만, 레버리지 ETF는 회복하지 못합니다. 이게 바로 ‘변동성 끌림(Volatility Drag)’ 혹은 ‘녹음’입니다. 방향성이 지속되지 않으면 손실만 남습니다.


💸게다가 고금리 시대, 비용도 살벌합니다

레버리지 상품                                                               연간 보유 비용 추정치
3배 ETF 약 12% 이상
2배 ETF 약 6.5%

이 비용은 그냥 사라지는 게 아닙니다.

  • 레버리지 ETF는 단순히 주식을 3배 담는 게 아니라, 글로벌 IB와 수압(Swap) 계약을 맺어 운용합니다.
  • 여기에 차입금리 + 가산 금리 + 구조 수수료가 모두 녹아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미국 기준금리만 5% 가까이 되는 역대급 고금리 시기입니다.


🐂"두 배 사기는 부담돼요?" – 심리적 착시 효과

일반 ETF 두 개를 사는 게 부담된다는 이유로 레버리지를 택하는 현상도 존재합니다. 심리적으로 '투자금이 크면 부담된다'는 착각에서 비롯된 선택이죠.

하지만 사실 레버리지를 택한다는 건 단기 도박에 가까운 결단입니다. 투자 규모를 키우는 건 ‘야수의 심장’이지만, 레버리지는 ‘도박사의 심장’입니다.


🇰🇷"왜 이렇게 한국만 몰빵하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해외 레버리지 ETF의 20% 이상을 한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속출합니다.

상품명                                                                                                                            한국인 비중
반도체 3배 ETF 22%
나스닥 3배 ETF 12.5%
테슬라 2배 ETF 39%
비트코인 2배 ETF 42%

미국에서도 이건 뉴스감입니다. 도박처럼 단기 ‘쾌감’을 추구하는 투자문화가 레버리지 과잉 소비로 이어진 거죠.


⛓️대안은 무엇인가?

  • 비레버리지 ETF + 분할 매수
  • 현금 보유 비중 확대 + 저금리 자산 회피
  • 장기 보유에 적합한 ETF 중심 전략

레버리지 상품은 방향성과 타이밍을 완벽히 맞출 수 있을 때만 유효합니다. 하지만 그 확률은 극히 낮고, 그 대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마이너스 수익률’이라는 형태로 돌아옵니다.


🚨요약: 지금은 레버리지 하기 ‘가장 나쁜 시기’

  • ✅ 초고금리 (레버리지 비용 급등)
  • ✅ 초고변동성 (롱도 숏도 죽는 시장)
  • ✅ 지속적 녹음 효과 (수익률 손실 누적)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타로 화끈한 수익을 추구하며 도박성 투자로 빠져드는 현실은 자본시장에 만연한 쾌락 중독 투자 문화를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합니다.


🏁결론: 야수의 심장은 투자금에서 시작된다

진짜 야수의 심장은 한 번에 천만 원을 넣을 수 있는 ‘투자 볼륨’에서 시작됩니다.
레버리지를 택하는 순간, 시간과 확률은 우리 편이 아닙니다.

지금은 시장보다 내 심리와 싸워야 할 때입니다.
그리고 그 싸움의 열쇠는 ‘레버리지’가 아니라 ‘절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