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읽는 기술
압구정 현대 초딩과 대치맘의 나라, 어른이 만든 신분 게임
잘사는법이....
2025. 4. 23. 11:38
1. 그냥 토스트 먹으러 왔을 뿐인데…
- 대전의 충격적인 사건도 그렇고,
유튜브 워크맨-워크돌 편을 우연히 보게 됐다. - 대치동 토스트집에서 찍은 영상.
초등학생들 등장, 토스트 하나 먹으러 온 건데…
🎙️ 2. “압구정 살아요?” “현대 아파트요?”
그 질문, 왜 필요했을까?
- 초등학생에게 던진 첫 질문이
“여기 살아요?” “압구정 어디요?” - 현대아파트라 하자,
어른들 눈빛이 변하고 질문이 폭주함. - “스톤아일랜드 누가 사줬어요?”
“아버지가 의사세요?” - 듣고 있던 친구가 조용히,
“네... 우리 아버지는 의사세요.”
👦👧 3. 아이들은 순수했다.
근데 어른들이 몰아갔다
- 한 남자 PD의 멘트:
“그럼 그냥 고백해도 되요~” → 자막: 알파메일 조기확정 - 초등학생은 “살 빼고 싶다”고 했을 뿐인데
“좋아하는 애 있구나? 고백할거야?” - 아이의 감정과 상황을
어른들이 너무 성급하게 해석하고 몰아갔다
🧬 4. 사실상 한국식 신분제
- 저 아이들은 초등 5 13살
인터뷰한 어른들은 03년생, 22~23살 - 10살 차인데 질문은 마치 조선시대 호구조사
- "사는 곳 → 아버지 직업 → 명품 옷 브랜드"
→ 이것은 암묵적인 신분 코드다 - 한국은 외모도 비슷해서 드러나지 않을 뿐
사실상 신분 사회가 작동 중
🏆 5. 키워드: 알파메일 양성소
- 아이들 입장에서 느낄 것:
- "내가 압구정 현대 아파트 살고,
아버지가 의사면 어른들 눈빛이 바뀐다." - 이것이 반복되면?
어른의 인정을 받는 방식을 학습하게 된다. - 결국 이 사회가
"알파메일"을 자라게 만드는 구조가 된다.
⚠️ 6. 결국, 어른들이 문제다
- 영상은 무례하다는 비판도 받았지만
그래서 뜬다. - 마계였으면 바로 야리고 맞다이(?)
근데 애들은 순하고 말 잘 듣는다. - 어른들의 시선이 아이들을 키운다.
강남 키즈는 해학의 대상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축소판일지도 모른다.
🧠 결론
“해학의 대상이 되고 싶은가요?
그럼 압구정 현대아파트 사세요.”
- 1976년에서 2026년까지, 50년
이 구조를 돌파하려면
ⓐ초반에 진입해서 버티든가 ⓑ중간에 치고 들어가든가 - 둘 다 없다면?
우리 아이들은 압구정 키즈에게 찢길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