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읽는 기술
2025.04.08 “기초만 닦아도 된다, 광개토는 다음 세대가 한다”
잘사는법이....
2025. 4. 8. 08:41
⚒️ 정약용도 못 한 일, 소수림왕처럼 가야 하는 이유
— 흑수저가 다음 세대를 위해 할 수 있는 최선
조선 후기의 천재, 정약용.
그는 실로 탈인간급 초지능을 가진 인물이었습니다.
하지만,
가문빨이 딸려서 평생 ‘주류’ 밖에서 고군분투했습니다.
🤯 정약용이 이룬 것 vs. 이룰 수 없었던 것
- 실학의 아버지,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수많은 저서
- 하지만 자신의 자식들은 주류 사회로 완전히 편입되지 못함
그는 간절히 원했죠.
“나는 힘들었어도, 자식들만큼은 중심으로 들어가길…”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 주변의 끌어내리기
- 끝없는 모함과 견제
- 시대적 벽
📌 여기서 얻은 인사이트
한 세대의 하드워크에는 한계가 있다.
진짜 판을 바꾸려면, 그 노력은 2대로 이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 시작인 1세대는 ‘너무 튀면 안 된다’.
기틀을 닦는 쪽으로 집중해야 한다.
🏯 소수림왕이 흑수저의 롤모델인 이유
고구려의 소수림왕.
흔히 우리는 광개토대왕, 장수왕 같은 정복 군주를 기억하지만,
그 기반을 만든 건 바로 소수림왕이었다.
📚 소수림왕의 키워드
- 태학 설립 (교육 시스템 구축)
- 율령 반포 (법과 제도 확립)
- 정복 전쟁 없음 (외적 확장 NO)
- 내부 정비, 시스템 중심
💬 한 마디로: 기본기만 닦았다.
⚽ 운동에 비유하자면?
소수림왕은 마치 이런 사람이다:
“초등학교 때 매일 리프팅 2만 개 연습한 아이”
“그러나 아직 팀에도 소속 안 됨, 경기도 안 뛴다”
→ 대신 기초 체력과 감각은 미친 듯이 올라가 있음
🧬 흑수저의 전략은 ‘시스템 구축형 1세대’
- 당장 눈에 띄는 ‘결과’보다
- 다음 세대가 뛸 수 있게 만드는 ‘환경’
정약용도, 소수림왕도
결국 기반을 닦은 사람이었다.
정복은 광개토, 장수왕의 몫.
🔖 외우기 위한 마무리 정리
소수림왕은?
- 태학 설립
- 율령 반포
- 정복 전쟁 안 함
- 시스템 정비에 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