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요약
2024.12.31 메르요약 원 달러 환율의 변수
잘사는법이....
2024. 12. 31. 14:16
원 달러 환율의 변수 ( feat 국민연금, 전략적 환헤지 조건 발동 )
- 환헤지란?
-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금융기법으로, 선물환 계약, 통화옵션, 통화스와프 등 다양한 방식이 있음.
- 한국 기업은 주로 선물환 계약을 사용하며, 특히 조선업에서 많이 활용함.
- 환헤지 방식
- 통화옵션: 미리 정한 환율로 통화를 교환할 권리를 구매. 환율에 따라 옵션 실행 여부를 결정하며, 비용이 높음.
- 통화스와프: 통화나 금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음.
- 국민연금의 환헤지 전략
- 전술적 환헤지: 기금 운용본부가 해외투자금의 5% 한도 내에서 환헤지 가능.
- 전략적 환헤지: 환율이 1451.6원을 5영업일 이상 초과할 경우 발동, 해외투자금의 10%까지 환헤지 가능.
- 전략적 환헤지 발동 상황
- 최근 환율이 1471원 수준으로, 전략적 환헤지 발동 조건 충족 가능성이 높음.
- 추가 환헤지 여력은 593억 달러로, 총 727억 달러(15%)까지 환헤지 가능.
- 미래 전망
- 2024년 9월 WGBI 가입 예정으로 환율 하락 요인이 있지만, 실행까지 시간이 남음.
- 미국과 통화 스와프 재개가 최선의 방안으로 보이나, 현실적인 어려움 존재.
한 줄 코멘트: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 발동이 확실시되며, 추가 환헤지가 가능하지만 한계가 있을 수 있음.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재개가 필요한 상황이나 실현 가능성은 불확실함.